건강하게 삽시다 心修則體健(심수즉체건) 心生則肉生(심생즉육생) 마음을 닦은즉 몸이 건강 해지고 마음을 살린즉 몸이 산다. 心良則不老草(심량즉불로초) 心善則不死藥(심선즉불사약) 마음이 어진즉 불로초요 마음이 착한즉 불사약이다. * 健康의 三代原則 * 1. 淸心(청심) 2. 運動(운동) 3. 營養攝取(영양섭취) 사람은 영과 육이 합덕 되어 있으나 세상 사람들은 靈(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고 肉(몸)만 보이게 되니 균형 잡힌 건강관리를 잘 못 하고 있습니다. 心家肉體(심가육체)=(마음의 집이 육체)이며, 육체는 마음이 시키는 대로 움직일 뿐입니다. 마음은 우리의 육체의 주인이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그리고 하루의 일과를 봐도 정신적인 활동과 육체적인 활동을 합니다. 즉 정신적인 피로와 육체적인 피로가 ..
孔子三計圖(공자삼계도)에 云(운) 一生之計(일생지계)는 在於幼(재어유)하고, 一年之計(일년지계)는 在於春(재어춘)하고, 一日之計(일일지계)는 在於寅(재어인)이니 일생의 계획은 어릴때에 있고, 일년의 계획은 봄에 있고,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의 幼而不學(유이불학)이면 老無所知(노무소지)요 春若不耕(춘약불경)이면 秋無所望(추무소망)이요 寅若不起(인약불기)이면 日無所辦(일무소판)이니라."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아는 것이 없고, 만약 봄에 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으며, 만약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그날에 힘써 일할 바가 없어지느니라.
樂之(낙지) 논어에서 공자는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며, 지혜로운 사람은 동적이고,어진 사람은 정적이며, 지혜로운 사람은 즐겁고,어진 사람은 장수한다"고 하였다. 이 말을 순간적으로 보면 지혜로운 사람은 물에 의지해 있고어진사람은 산에 의지해 있으므로 유지(有待)의 즐거움을 말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어진사람이 물을 보거나 지혜로운 사람이 산을 보아도 역시 즐겁고 물과 산이 없더라도 인자(仁者)나 지자(知者)가 스스로 즐거움을 잃지 않을 것이니 공자의 즐거움도무지(無待)의 즐거움이라고 할 수 있겠다. "가난하지만 즐겁다" "거친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팔굽혀 베개삼고 있어도 즐거움은 그 가운데 있다" "발분하면 밥먹는 것도 잊어버리고 즐거움으로 걱정을 잊으며 늙음이 닥쳐오..
생활의 지혜 ▷녹슨 우산의 녹은 솜이나 휴지에 아세톤을 조금 묻혀 닦으면 깔끔하게 지워진다. ▷빨래가 끝난 후 1 분정도 세탁기를 자체 탈수시키면 구석의 물이 다 빠져나가 한 겨울 세탁기 동파를 막을 수 있다. 또 수도꼭지와 세탁기로 물이 들어가는 줄을 빼놓고, 세탁기와 연결된 수도꼭지를 버리는 옷 등으로 싸두는 것도 좋다. ▷까맣게 된 스텐 그릇이나 냄비는 끓는 물에 레몬을 넣고 몇 분 끓이면 문지르지 않아도 새것처럼 변한다. 또는 버리는 귤껍질과 사과껍질로 닦아보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붉은 고추나 마늘을 쌀통에 넣어두면 쌀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쌀통속에 큰 마늘 봉지를 깔아두면 쌀통 구석에 쌀알이 껴 썩는 일도 없다. ▷못 쓰는 스타킹에 10원짜리 동전 4, 5개를 넣어 싱크대..
식사예절의 상식 에티켓이라는 용어는 원래 프랑스어로 Estiquier 나무말뚝에 붙인 표지 라는 용어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그 유래를 살펴보면 옛날 베르사이유 궁정의 화원에 어느 몸가짐 나쁜 사람이 들어가 아름다운 꽃을 밟아버린 사건이 생기자 화원 주변에 출입을 금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말뚝을 박아 놓았고 출입을 제한하는 상징인 나무말뚝은 그 자체만으로 예의를 뜻하게 되었다. 그 후로도 사람들은 단순히 화원 출입 금지라는 뜻 뿐만이 아니라 남의 '마음의 화원' 을 해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넓게 해석하여 예절이란 뜻으로 사용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에티켓이 프랑스에 어느 정도 정착된 것은 15 세기부터이며 안느 도트리슈 Anne d'Autriche 루이 13 세의 왕비 의 노력으로 긍정 에티켓이 더욱..
마음은 어디에 있을까? 심장에 마음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마음은 심장에 있지 않습니다그러면 도대체 어디 있다는 말일까요? 마음이 어디에 있느냐는 것은 비유로만 가능합니다. 가령 이런 예를 들어 봅시다. 몹시 무더운 날씨입니다. 당신의 몸이 더운 것을 느꼈습니다. 하지만 덥다고 느낀 것이 당신의 '마음이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당신의 피부와 살의 신경이 받아들이고 뇌에 전달한 것을 인식한 것뿐입니다. 그런데 바로 그 순간, 당신이 덥다고 느끼는 바로 그 순간에(동시에) 시원해지고 싶은 마음이 일어납니다. 그 다음 당신은 부채나 선풍기나 에어컨을 켜실 것입니다. 지금 3단계의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 1단계 덥다 → 온도를 체표가 감지 → 더운 것을 인식한다. (상황발생) * 2단계 시원해지고 싶은 ..
생활의 지혜(1) 돈으로 살 수 없는 삶의 지혜들 핸드크림에 설탕 섞으면 효과 최고 !! 정말 간단하게 손의 피부를 지킬수있는 방법 하나, 핸드크림과 함께 설탕을 준비하세요. 핸드크림을 한번 쓸 분량만큼 짜고 거기에 설탕 반 스푼을 뿌려서 섞으세요. 설탕과 크림을 골고루 섞은후 전체에 부드럽게 발라주면되요. 몰라보게 손이 고와진답니다. * 테이프는 냉동실에 잠깐!! 아이가 듣는 동요테이프나 영어테이프는 반복해서 듣다보면 늘어지기 쉬워요. 이럴땐 주방에서 쓰는 비닐봉지에 테이프를 넣고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은 후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꼭 묶어요. 이걸 냉동실에 2시간정도 넣었다 꺼내보세요. 다시 원상태로 돌아온답니다. *코막힘엔 배와 양파즙이 효과 만점!! 코가 막혀 힘들때 모과나 배, 꿀등의 뜨거운 차..
흥미로운 상식 고양이는 생선을 먹지 못하면 시력을 잃는다. 쥐와 생선에 타우린이 많이 들어있어서 고양이는 쥐와 생선을 꼭 먹어야 한다. 또한 고양이에게 타우린은 심근경색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오징어 겉면에 하얗게 붙어있는 가루가 타우린이다. 오징어를 구울 때 나는 독특한 타는 냄새가 타우린에 의한 것이다. * 일본에는 "미인을 조심하라"는 교통 표지판도 있다. 20여년 전에 세워졌으며,언덕길에서 과속해서 생기는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미인 없음. 한눈 팔 것도 없음' 이었으나, 동네 주민들의 반발을 감안,역으로 '미인이 많음. 곁눈질 운전 금지'로 바꾸었다. * 물구나무서기 1분이면 뱃살이 빠진다. 물구나무서기를 하면 직립생활만을 하여 한 쪽에 몰렸던 체액이 반대쪽으로 흐르게..
* 생활의지혜 1.지나치게 짠 음식에 식초를 몇 방울 넣으면 짠맛이 덜 해진다. 2.밥통의 밥을 오래 보존하려면 옮겨 담기 전에 밥통에 식초를 한 두 방울 떨어뜨린다. 3.도마에 밴 파 냄새나 손에서 나는 양파 냄새,마늘 냄새는 식초를 탄 물로 씻으면 없어진다. 4.김밥을 자를 때 식초에 칼을 담갔다 자르면 잘 잘라진다. 5.오이의 쓴 맛을 빼려면 식초를 탄 물에 담가 둔다. 6.다시마를 삶을 때 식초물에 담그면 색깔이 곱고 잘 무른다. 7.연근, 우엉 등을 삶을 때 식초를 넣으면 아린 맛이 가시고 빛깔이 엷어진다. 8.질긴 고기는 식초를 발라 2~3시간 두면 연해진다. 9.식초를 서너 방울 떨어뜨리면 달걀이 깨지지 않고 그대로 잘 삶아진다. 10.석쇠에 식초를 바른 뒤 구우면 생선이 눌어 붙지 않고 깨..
생활의 지혜 백서 * 은수저의 색깔이 변했을 때... 은도금한 수저와 포크 등이 더러워졌을 때 자칫 손질을 잘못하면 도금이 벗겨질 우려가 있다.이럴때 우유에 1시간 정도 담갔다가 꺼내 마른 헝겊으로 닦으면 도금도 유지되고 깨끗해진다. 빛깔이 흐려질 때마다 이렇게 손질을 하면 항상 반짝거리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 자동차앞에 주차금지딱지! 속 상하시죠?---------------------------- 어쩌다 잠시 주차한 곳에 붙여놓은 불법 주차 딱지... 범칙금은 다행히 물지 않더라도 더덕더덕 붙은 종이자국 때문에 더 속이 상할 때가 많다. 물로 지워도 잘 지워지지 않고 그렇다고 칼로 긁기에는 유리가 상할까봐 조심스럽고...이럴때는 스프레이로 된 모기약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모기약을 종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