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만은 많은 지식을 무용지물로 만들고 겸손은 적은 지식으로도 풍요롭게 합니다. 많은 지식보다는 겸손이 낫고 겸손한 침묵보다는 행동이 낫습니다. 쉬운것을 어렵게 말하는 것은 교만의 사치요, 어려운 것을 쉽게 말하는 것은 겸손의 저축입니다. 오만한 마음에는 더 이상 채울 것이 없으나 겸손의 그릇은 늘 비어 있어서 채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오만의 그릇은 쏟아 보면 나올 것이 없으나 겸손의 그릇은 빈 그릇에서도 지략이 철철 넘쳐 쏟아집니다. 知不如謙(지불여겸) 謙不如慈(겸불여자) "아는것은 겸손함만 못하고, 겸손하다 해도 인자함만 못하다."
다 그렇다고 그럽니다 天地之道德(천지지도덕) 道德之人生(도덕지인생) (*천지가 곧 자연이요,자연의 섭리가 곧 도덕이니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면서 살아야 하느게 이생이라) 宿命苦埃(숙명고애) 運命幸福(운명행복) 자기가 받은 명을 개척 하지못하고 잠재우는 것은 고생하는 길로 가는것이고. 자기가 받은 명을(주워진 환경)잘 개척하여 착하고 올 은 방향으로 잘운전 해 간다면 행복한 삶은 열려지는 것이다. (전생차생의 업보가 있어 괴로운 인생이니 전생과보를 닦고 공덕을 쌓으면 해탈의 은혜로 행복한 삶이 되느니라) **다 그렇다고 그럽니다** 사람 사는일이 다그렇다고 그럽니다 능력 있다고 해서 하루 밥열끼 먹는것도 아니고 많이 배웠다 해서 남들 쓰는말과 다른 말 쓰는것도 아니고 그렇게 발버둥 치고 살아봤자 사람사는일 ..
부부 십계명 夫婦有明(부부유명)-夫和婦順(부화부순)-萬福滋生(만복자생)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밝음이 있으니, 남편은 화화롭게 하고 아내는 순하게 함으로써 만복이 불어서 생긴다. *아래의 "부부십계명"을 잘 실천하여 부화부순 만복자생 하여 행복하게 삽시다. * 착한 아내가 되려면 * 1. -시댁 식구를 자주 칭찬 하라. 2. -남편이 하는 일을 격려하라. 3. - 언제나 단정하고 산뜻하게 가꾸라. 4. - 사소한 일이라도 감사하다는 표현을 하라. 5. - 남편이 감추려하는 과거는 들추지 말라 6. - 독서량을 많이 늘리라. 7. - 집 안 분위기를 무드 있게 바꾸라. 8. - 출퇴근 시 현관 밖에서 반갑게 배웅하라. 9. - 남편의 용돈을 과감하게 인상해 주라. 10.- 남편의 말에 맞장구를 쳐주라. * ..
인생 고를 풀고 행복하게 살려면 1, "참자!" - 그렇게 생각하라. 감정 관리는 최초의 단계에서 성패가 좌우된다. "욱"하고 치밀어 오르는 화는 일단 참아야 한다. 2, "원래 그런 거"- 라고 생각하라. 예를 들어 고객이 속을 상하게 할 때는 고객이란원래 그런 거라고 생각하라. 3, "웃긴다" - 고 생각하라. 세상은 생각할수록 희극적 요소가 많다. 괴로울 때는 심각하게 생각할 수록 고뇌의 수렁에 더욱 깊이 빠져 들어간다. 웃긴다고 생각하며 문제를 단순화 시켜보라 4 "좋다. 까짓 것" - 이라고 생각하라. 어려움에 봉착했을 때는 "좋다. 까짓 것" 이라고 통 크게 생각하라. 크게 마음 먹으려 들면 바다보다 더 커질 수 있는 게 사람의 마음이다. 5, "그럴 만한 사정이 있겠지" - 라고 생각하라. ..
인생 이란? 오늘을 사는 우리는 나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과 여건 그리고 나에게 괴로움을 준 사람, 나의 마음을 아프게 한 사람을 원망하고 미워하게 됩니다. 이 또한 우리가 이 땅에 태어나 살아가면서 필연적으로 내 곁에 있는 것이 안일까요 그림자처럼 그러나 마음을 한번 바꿔보세요 내 자신이 처해진 모든 여건과 환경들은 내가 만든 전생차생의 업보인 걸요 善惡因緣果報結(선악인연봐보결) 人間必有報復理(인간필유보복리) 착함이나 악함은 인연이나 과보의 결로써 인간에게는 반드시 보복하는 이치가 있으니 모든 것은 누가 일부러 가져다 준 것이 아니라 내 자신이 스스로 만들어 놓은 업보요 인연인 것을요 좋은 집에, 예쁘게, 명예와 권력이 있는 그런 삶, 그런 집에서 태어나지 못한 것이 누구의 잘못이겠습니까? 부잣집에, 잘..
道德眞理(도덕진리) 自然法則(자연법칙) 도덕의 진리는 곧 자연의 법칙이다. *일반적으로 도덕이라고 하면 우리의 생활과는 다르게 따로 존재 하는 것으로만 생각하기 쉬우나 우리 인간의 생활 자체가 다 도덕 인 것입니다. 그리고 도덕이라면 책 속에만 있는 윤리나 규범만이 도덕으로 생각하지만 그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도덕이란 광대무변한 진리가운데 일부분일 뿐입니다. 우주공간의 대자연의 법칙이 다 도덕인 것입니다. 天地之道德(천지지도덕) 道德之人生(도덕지인생) 천지가 곧 도덕이요, 도덕가운데 사는 것이 인생이다. *하늘에는 元亨義貞(원형의정)의 법이 있고 땅에는 春夏秋冬(춘하추동)이 있고 사람에게는 仁義禮智(인의예지)가 있으니 이것이 法紀四端(법기사단)이라 하며 天道之法(천도지법)이요 自然(자연)의 攝理..
도농 가(道農歌) 즐겁도다 수련형제 내 말잠깐 들어 보소 만화방창 도덕춘에 도덕농사 지어보세 입춘우수 다지나가고 경칩춘분 돌아오니 도농기가 바빠온다 어서어서 일어나세 봄 농사에 실패하면 추수동장 못하리라 心田白地 좋은밭에 도덕씨를 뿌렸드니 삼강오륜 벋은 가지 효자충신 여는구나 지수화풍기운받아 무럭무럭 자라날제 나도메고 너도메고 어서바삐 지심메세 팔악지심 잡초랑 송두리체 제거하고 인생근본 팔선일랑 북돋우고 물을 주세 無量淸靜正方心은 농사짓는 격양가요 한번불러 청심이요 두번불러 명심이라 땀흘리고 지은 농사 유자전손행복도요 예의동방삼천리에 도덕농사 풍년이네. 無量淸靜正方心(무량청정정방심)
각성가(覺性歌) 백옥이 진토에 묻쳐있으니 가는이 오는이 다 흙만 여기고 빛나는 백옥인줄 눈을 뜨고도 모르더라 세상 사람들이 입들만 선하여서 제 허물 제모르고 남의 흉만 보는구나.남의 흉 보지말고 착한 마음 찾아보소 까마귀 싸우는곳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낸 까마귀 흰빛을 더럽히니 너의 자체 조심하라. 꽃은 무슨이로 피어 쉬지고 풀은 어찌하여 푸르는듯 누르나니 아마도 변치 않는것은 聖德道뿐이로다. 송죽은 어찌하여 만고에 푸르러며 장강류수는 어찌하여 주야로 끊이지 않는고 우리도 정심찾아 송죽류수와 같이 聖德道를 세상에 빛내고 빛냅시다. 송죽이 눈비 맞아 희는듯 누르나니 야광명월이야 밤인들 어두우리요 元亨義貞(원형의정)밝은 도덕 변할리가 있으리요 구름이 무심탄 말이 아마도 허량하다 중천에 떠 있어 임의로 다니면서..
새 아침 光明(광명)이 照曜(조요)하다 일기가 화창하네 바람도 구름도 다 사라 졌구나 내 마음에 수심도 다 사라졌구나 웃어라 웃어라 행복의 이 기쁨 나도 너도 화목으로 新氣道運(신기도운) 밝은 아래 춤추며 노래하자 기쁨에 이 아침 언제나 언제나 변함없이 즐기자. 無量淸靜正方心(무량청정정방심) 淸江流水(청강류수) 맑은 물은 구비구비 은 빛이요 相謙(상겸)相謙(상겸) 相駕洛地(상가락지) 孝作道修(효작도수)하여 四海蒼生(사해창생) 救濟(구제)로다. 밝을明字運氣(명자운기)로 도덕광명 빛났도다 無量淸靜正方心(무량청정정방심)